
년도 | 질문 | 권고 | 권고등급 | 근거수준 |
---|---|---|---|---|
2017 |
KQ1. 유치열기의 소아환자에서 우식 진단을 위한 적절한 검사법은? |
권고1. 임상검사 상 유치의 우식이 의심되거나, 우식 고위험군에 속하는 소아의 경우 교익방사선영상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I |
권고2. 방사선영상검사 주기를 결정하는 근거로서 우식 위험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. 위험군에 따른 교익방사선영상검사 주기는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. 우식 고위험군 - 6개월 우식 중위험군 - 6~12개월 우식 저위험군 - 12~24 개월 |
B | II | ||
KQ2.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중인 환자에서 적절한 영상 검사법은 무엇인가? |
권고1. 구강 내에 임상적으로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골 상태와 인접한 해부학적구조물의 형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파노라마방사선검사와 식립할 치조골부위의 치근단방사선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. |
A | II | |
권고2. 파노라마방사선검사와 구내방사선검사를 판독 후 단면영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개별환자에게 이차적으로 필요한 부위만 관찰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시야를 가지는 CBCT 검사를 수행한다. |
B | II | ||
권고 3. CBCT 영상은 임상적으로 악골이나 상악동에 병적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일차검사가 될 수 있다. |
B | II | ||
2018 | KQ1. 임플란트를 심은 후 추적검사에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식립한 임플란트의 배치와 골유합, 그리고 임플란트 주변의 골 수준을 평가하고 추적검사 하기 위하여 파노라마방사선검사과 구내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I |
KQ2. 임플란트를 심은 후 감각이상이 있는 환자에게 적절한 영상 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임플란트를 심은 후 감각이상이 있는 환자에게 임플란트와 주변 구조물과의 위치를 확인하고 환자의 임플란트 제거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CBCT를 권고한다. |
A | II | |
KQ3. 식사할 때마다 귀앞/턱밑이 붓는 환자에게 적절한 영상 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식사 시 귀앞 (혹은 턱밑) 부종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폐쇄성 타액선염 진단을 위해 특정 검사를 권고하거나 반대할 만한 근거는 불충분하다. |
I | IV | |
KQ4. 씹을 때 통증이 있어 수직치근파절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적절한 영상 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씹을 때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수직치근파절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수평각을 달리한 2장 이상의 구내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I | |
권고2. 구내방사선영상이 치근파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CBCT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 | ||
KQ5. 근관치료를 계획하고 있는 환자에게 적절한 영상 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근관치료를 계획하고 있는 환자에게 해당 치아 부위의 치근단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I | |
KQ6. 제3대구치(사랑니)를 제외한 매복치의 위치확인을 위한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제3대구치(사랑니)를 제외한 매복치의 위치확인을 위하여 구내 및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 CBCT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 | |
KQ7. 교정치료 전 두부계측분석을 위해 CBCT검사가 적절한가? |
권고1. 복잡한 골격이상 특히 교정 및 수술의 복합치료가 필요한 경우 치료 전 두부계측 분석을 위해 두개안면 CBCT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 | |
KQ8. 치아파절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 1-1. 치아파절을 평가하기 위해 치근단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 | |
권고 1-2. 치근 파절의 경우 수직각 또는 수평각을 변화하여 1매의 추가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 | ||
권고2. 치근단방사선영상이 치근파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CBCT 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 | ||
KQ9. 매복 하악 제3대구치(숨어있는 사랑니)의 발치계획을 위해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매복 하악 제3대구치 (숨어 있는 사랑니)의 발치계획을 위해 일차적으로 파노라마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 | |
권고2.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하악관과 하악 제3대구치와 근접하고 있는 것이 의심되며 외과적 치아발거술이 결정되었을 경우 CBCT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I | ||
KQ10. 성인에게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성인에게 치주질환 진단을 위하여 구내방사선검사나 파노라마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II | |
권고2. 골내 결손이나 치근 분지부 병변과 같은 선택적인 경우에는 CBCT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I | ||
KQ11. 수술적 근관치료를 계획할 때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1. 수술적 근관치료 계획할 때 치근단병소를 확인하기 위해 치근단방사선검사를 권고한다. |
A | II | |
권고2. 수술적 근관치료 계획할 때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근단방사선영상에서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, 병소 및 인접 주요 해부학구조물의 평가를 위하여 CBCT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V | ||
2019 | KQ 1. 항암치료 전 전반적인 치과검진을 위한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 1. 항암치료 전인 성인환자에서 전반적인 치과검진을 위한 영상검사는 전악구내방사선검사나 파노라마방사선검사가 적절하다. |
A | IV |
권고 2. 항암치료 전인 소아환자에서 치아우식증과 치주상태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전악 구내방사선검사나 교익방사선검사가 적절하다. |
A | II | ||
권고 3. 항암치료 전인 소아환자에서 영구치아의 형성과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을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V | ||
KQ 2. 안면부 외상환자에서 악골 골절 진단을 위한 적절한 영상 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 1. 안면부 외상환자에서 일반방사선검사나 임상검사 후에 절단면영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CBCT 혹은 두경부 CT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I | |
KQ 3. 교정시술 중인 성장기 환자에서 시술 기간 중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 1. 혼합치열기와 영구치열의 아동 및 청소년기 환자의 교정시술 기간 중 성장 및 골격 관계를 평가하는데 적절한 영상검사로 치근단방사선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영상 및 두부규격방사선영상을 필요에 따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 | |
권고 2. 교정시술 기간 중 외과적 시술이 필요하거나 일반방사선촬영으로 확인이 어려운 위치의 치근흡수 등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좁은 범위의 CBCT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 | ||
KQ4. 성인의 치아우식 평가를 위한 적절한 검사법은 무엇인가? |
권고 1. 성인의 치아우식 평가를 위해 교익방사선영상검사나 치근단방사선검사가 적 절하다. |
A | II | |
권고 2. 성인의 치아우식 평가를 위한 검사로 CBCT는 적절하지 않다. |
C | III | ||
KQ 5. 성인의 구강 검진 환자에서 적절한 영상 검사법은 무엇인가? |
권고 1. 전반적인 치아 및 치주조직, 악골의 상태 진단을 위한 검사로 파노라마방사선영상검사가 적절하다. |
A | II | |
KQ 6. 구강점막에 발생한 악성종양 환자에서 수술 전 평가를 위해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 1. 구강점막에 발생한 악성종양의 staging과 수술 전 평가를 위해 조영증강 MSCT나 MRI 검사가 초기 영상으로 적절하다. (권고등급 A, 근거수준 I) |
A | I | |
권고 2. 골 침범 진단이 치료계획을 변경시키는 경우 악골 내 침범을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 CBCT를 고려할 수 있다. (권고등급 B, 근거수준 I) |
B | I | ||
KQ 7. 턱관절 질환의 임상증상을 보이나 일반 방사선영상에서 정상이거나 진단이 불충분할 때 적절한 영상검사는 무엇인가? |
권고 1. 턱관절 질환의 임상증상을 보이지만 일반 방사선영상에서 정상이거나 진단이 불충분할 때 MRI 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. |
B | III |